세금신고

가족 명의 사업자 등록 후 애드센스 수익을 등록하면 문제가 될까?

eunian0908 2025. 7. 10. 18:41

유튜브나 블로그를 통해 수익이 발생했을 때, 일부 사람들은 가족 명의로 사업자 등록을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미성년자이거나 사업자 등록이 부담스러운 경우, 부모님 명의나 배우자 명의로 사업자를 내고 애드센스 수익을 그 사업자에 귀속시키는 방식이다.
처음에는 편리해 보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소득 귀속 문제, 세무 리스크, 가족 간 금전 갈등 등 다양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국세청은 ‘사업자 명의’보다도 ‘실제 수익의 귀속자’가 누구인지를 중점적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가족 명의로 사업자 등록 후 애드센스 수익을 신고하는 구조의 위험성과 가능한 대안, 세무 처리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가족 명의 사업자 등록 후 애드센스 수익을 등록하면 문제가 될까

 

실질 소득 귀속자는 누구인가가 핵심 기준

세법상 중요한 개념은 명의자가 아니라 실소득자, 즉 누가 수익을 창출했는지이다.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영상 편집, 업로드, 콘텐츠 기획을 실제로 한 사람이 자녀라면, 아무리 부모 명의로 사업자 등록을 했더라도 국세청은 자녀를 실질 소득자로 본다.
이때 수익이 가족 명의로 신고되면, 소득 분산 효과가 생기는 대신, 세무조사 시 ‘명의신탁’ 또는 ‘소득 은닉’으로 의심받을 수 있는 구조가 된다.
특히 수익 규모가 커지는 경우, 가족 명의 사업자를 통해 소득을 분산하거나 탈루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므로 소득의 주체와 명의자가 일치하지 않는 구조는 추천되지 않는다.

 

가족 명의 수익 귀속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 소득이 가족에게 귀속되므로, 부모나 배우자의 종합소득세 부담 증가
  • 국민연금, 건강보험료가 가족 명의로 급격히 상승할 수 있음
  • 향후 부동산, 금융 대출 심사 등에서 소득 기준이 왜곡되어 불이익 발생
  • 가족 간 금전 거래로 인해 증여세 이슈가 생길 수 있음
  • 실제 수익자가 국세청 소명 요청을 받을 가능성도 존재

이처럼 단기적으로는 신고가 편리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가족 간 갈등, 과세 리스크, 행정적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안전한 대안은 무엇일까?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실제 수익자 명의로 사업자 등록을 하거나, 수익을 개인으로 신고하는 방식이다.

  • 미성년자일 경우: 보호자 동의 하에 사업자 등록 가능
  • 초기 수익 단계일 경우: 사업자 등록 없이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종합소득세 신고
  • 가족의 명의로 이미 등록했을 경우: 수익 귀속자 변경 또는 신고 수정 요청을 통해 정정 가능

만약 가족 명의로 운영하고 있다면, 채널 운영 주체, 로그인 이력, 영상 제작 내역 등 실소득자가 누구인지 명확히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