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신고

사업자 등록 후 애드센스 수익을 법인으로 돌리는 방법(절세전략)

eunian0908 2025. 7. 1. 22:55

유튜브나 블로그를 통해 애드센스 수익이 꾸준히 발생하면, 개인사업자 단계를 넘어서 법인 설립을 고민하는 경우가 생긴다. 수익 규모가 커지고, 외주 인력을 쓰거나 사업 비용이 늘어나면 세금 부담도 커지기 때문이다. 많은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애드센스 수익도 법인 명의로 받을 수 있을까?” 또는 “법인을 만들면 세금이 더 줄어드는 걸까?”라는 궁금증을 갖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애드센스 수익도 법인 명의로 수령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법인세 체계로 들어가면 절세, 자산 분리, 신용도 상승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는 몇 가지 꼭 지켜야 할 절차와 법적 요건이 있다. 이 글에서는 애드센스 수익을 법인 명의로 돌리는 방법과 유의점, 실질적인 절세 전략까지 현실적인 정보를 알아보자.

 

사업자 등록 후 애드센스 수익을 법인으로 돌리는 방법(절세전략)

 

법인 명의로 애드센스 수익을 받는 구조는 어떻게 만들까?

애드센스 수익을 법인 명의로 받기 위해서는 법인 사업자 등록구글 애드센스 계정 명의 이전 또는 신규 등록이 필요하다.
법인을 설립한 후, 대표자는 기존 개인 애드센스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 법인 명의로 새 계정을 만들어야 하며, 수익 지급 계좌 역시 법인 계좌로 연결해야 한다. 구글은 기본적으로 법인 계정도 지원하지만, 등록 시 사업자등록번호, 법인명, 세금계산서 발급 정보 등 정확한 정보를 요구한다.
또한, 구글로부터 지급되는 수익은 해외 송금 방식이므로 외화 입금이 가능한 법인 명의 외화 계좌 개설도 필요하다. 이 과정을 통해, 애드센스 수익이 개인 소득이 아닌 법인의 매출로 잡히게 되어 법인세 체계로 이동하게 된다.

 

개인소득 vs 법인소득, 어떤 구조가 더 유리할까?

일반적으로 법인은 법인세율이 10~25%의 고정 누진 구조이며, 개인은 종합소득세율이 최대 45%까지 올라간다.
따라서 연 수익이 5,000만 원 이상을 꾸준히 넘기고, 다양한 지출이 발생하는 유튜버라면 법인이 훨씬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일 때는 소득이 8,800만 원을 넘으면 35% 세율이 적용되지만, 법인은 같은 수익에도 법인세가 10~20% 수준으로 고정되어 있어 절세 효과가 크다.
또한 법인은 급여, 장비, 차량, 사무실 임대료, 외주비 등 다양한 비용 처리가 가능하며, 대표자 급여와 배당으로 소득을 분산시킬 수도 있다. 단, 세무처리가 복잡해지므로 세무사의 조력은 필수적이다.

 

주의할 점: 명의 이전, 이중 계정, 해외 거래 이슈

구글은 하나의 개인이 여러 개의 애드센스 계정을 보유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개인 계정이 있는 상태에서 법인 계정을 따로 만들 때는, 법인 명의의 완전히 독립된 운영 환경(별도 이메일, 주소, IP 등)이 필요하다.
또한, 법인 전환 후에도 개인 명의 수익이 계속 입금되면 이중 과세 및 탈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계좌와 수익구조 모두 정리되어야 한다.
해외 거래 수익이기 때문에 관세청 외화 수령 자료와 국세청 소득 자료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세무조사 위험도 존재한다. 따라서 애드센스 수익을 법인화할 경우엔 반드시 정확한 사업자 등록, 통장 설정, 구글 계정 구분, 외화 관리가 병행돼야 한다.